2025 상생페이백 · 상생소비복권 총정리

매년 수많은 근로자들이 연말정산을 하면서 공제 누락이나 실수 때문에 환급금을 줄이거나 세금을 더 내는 상황이 발생합니다. 2026 연말정산(2025년 귀속)에서 특히 주의해야 할 실수 5가지를 정리했습니다.
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 등 일부는 간소화 서비스에 자동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안경·콘택트렌즈, 일부 학원비, 간소화 미제공 기부금은 영수증을 따로 제출해야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간소화 서비스에서 내려받은 자료만 제출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, 간소화에 없는 항목은 반드시 별도 증빙을 첨부해야 합니다. (예: 월세 계약서 + 이체내역, 기부금 영수증)
신용카드, 체크카드, 현금영수증 공제율이 다르므로 카드 사용 비율에 따라 환급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총급여의 25% 초과분부터 공제가 적용된다는 점도 놓치기 쉽습니다.
부모님, 자녀를 부양가족으로 공제받으려면 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 예: 연간 소득금액 100만원 이하(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원 이하)만 인정됩니다.
같은 항목을 중복으로 제출하거나 부부가 동시에 같은 공제를 신청하면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맞벌이 부부라면 사전에 공제 항목을 분리·조율하는 게 필요합니다.
2026 연말정산(2025년 귀속)에서 위의 5가지 실수만 피하더라도 환급금을 지키고 불필요한 세금 납부를 막을 수 있습니다. 다음 글에서는 맞벌이 부부를 위한 연말정산 절세 전략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.